Surprise Me!

[뉴스라이더] 치매 인구 100만 시대...사회가 함께 극복할 방법은? / YTN

2023-09-21 1 Dailymotion

■ 진행 : 안보라 앵커 <br />■ 출연 : 정순둘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뉴스라이더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망각은 신이 내린 선물이라고 하죠.나쁜 기억만 지워버리고잘 살면 좋겠는데,좋은 기억까지 지워지면 이것만큼 또 슬프고 힘든 게 없습니다. 그래서 치매는신이 내린 형벌이라고 표현되기도 합니다. 9월 21일, 오늘은 치매 극복의 날입니다. <br /> <br />사회가 함께 '치매'를 극복해 나갈 방법, 무엇이 있을지 함께 고민해 보는 시간 준비했습니다. 정순둘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모셨습니다. 교수님, 어서 오십시오. 제 나이가 40대가 됐는데 이제 40대가 되니까 누구누구 부모님이 아프시더라, 이런 소리가 들리기도 하더라고요. <br /> <br />그래서 부모님들이 하시는 말씀이 다른 건 다 감당하겠는데 치매만큼은 안 걸리고 싶다, 이런 말씀도 하시고요. 이게 사실 모두의 바람이기도 한 것 같습니다.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치매 환자 수도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고 올해 통계로만 보면 치매 환자 수가 100만명 가까이 될 것이다, 이런 관련 통계도 나왔더라고요. <br /> <br />[정순둘] <br />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 치매 환자 수도 증가할 수밖에 없는데요. 우리가 보통 치매 유병률이라고 해서 노인 인구 중에 몇 퍼센트가 치매에 걸리는가를 보면 대략 10% 정도를 이야기합니다. 10명 중에 1명이죠. 그래서 올해만 해도 100만을 예상하고 있잖아요. 그렇게 되면 앞으로 2060년이 되면 300만이 넘는다든가 그 노인의 숫자가 늘어나는 만큼 치매에 걸리는 노인도 늘어난다고 봐야 되는 거죠. <br /> <br /> <br />머지않은 미래인 것이고, 저 연도를 계산해 보면 20년 뒤에 저도 어쩌면 걸릴 수도 있는. 그러니까 남의 얘기가 아니라 내 일이 될 수 있다는 그런 소리입니다. 요즘 핸드폰 보면 실종 경보 문자가 자주 울리잖아요. 그래서 열어보면 치매 노인들의 실종 소식을 자주 알리는 알람입니다. <br /> <br />배회하는 치매 환자들이 늘고 있고 또 가족들의 경우는 우리 엄마, 우리 아빠 혹은 우리 가족 누구, 애타게 찾고 있거든요. 이거 겪어보지 않으면 알지 못하는 고통과 두려움인데 환자들이 겪는 문제 중에 가장 큰 고민이 바로 배회 문제라면서요? <br /> <br />[정순둘] <br />네, 주로 배회 문제는 치매 환자가 초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921085240192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